2025년 서울 아파트 및 연립주택 하자보수 관련 판례 및 현황은 아래와 같다.
2025년 주요 판례 및 사례
서울중앙지방법원 2022가합537175
이 사건에서는 아파트 하자가 발생해 원고가 피고에게 하자보수를 요구했으나 피고가 이를 불이행했고, 하자가 계속 남아 있어 소송이 제기되었다. 법원은 하자보수보증 책임의 발생을 인정했다.집단 하자 판정 및 판결 사례
최근 6개월(2025년 초 기준)간 하자 분쟁이 증가해 대형 건설사 중심으로 집단 소송 및 하자 판정이 활발하게 이뤄졌다.
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 접수 건수는 전년 대비 증가했고, 하자의 79.7%가 인정됐다. 대표 하자 유형은 균열, 누수, 외벽 도색 탈락 등이 포함된다.
한 아파트 단지에서는 3년 만에 외벽 금과 누수 하자 발생으로 약 15억 원대 배상 판결이 내려졌다.
하자 유형별 책임과 기간
내력구조(기둥, 내력벽 등) 10년, 방수공사 5년, 설비 및 창호 등 2~3년의 하자보수 책임기간이 엄격 적용된다.
시공사는 하자 발생 시 적극적 보수를 이행해야 하며, 미이행 시 손해배상 책임까지 발생한다.
연립주택 판례 및 실무 동향
아파트와 동일하게 연립주택도 집합건물법, 주택법, 공동주택관리법 적용을 받아 하자보수 소송에서 분양자, 시공자, 보증회사가 당사자가 된다.
2025년 상반기 기준 공동주택 하자 판정 비율이 역대 최고치 기록 중이며, 서울 주요 지역에서도 공용부분 및 세대별 다양한 하자에 대해 판결이 내려지고 있다.실질적 시사점
최근 3년 이내 신축 아파트, 연립주택에서 계단 균열·외벽 도색 탈락 등 안전과 직결된 하자에 대해 법원이 인정하고 대규모 배상 판결을 내리는 추세가 강화됐다.
하자보수 미이행 시 사업주체(분양자, 시공사)가 경제적 책임을 지는 사례가 증가하고, 입주자들이 적극적으로 집단 소송을 제기해 실효적인 배상 결과가 확대됐다.2025년 서울 아파트 및 연립주택의 하자보수 판례는 하자 유형별 책임, 단지 특수 사정, 집단 소송 확대 등 사회적 환경 변화를 반영하며, 판결 내용이 구체적으로 엄격해지고 있다.